단 두 명의 팀원으로 1년 6개월간 중앙 공모사업 4건 선정 쾌거
작성일 : 2020-12-28 18:32 기자 : 이민수
![]() |
블록체인 자문단 회의 |
#1. 창원시 김○○씨는 책을 빌리기 위해 경남대표도서관에 처음으로 방문했다. 그러나 도서관 직원은 신분증이 없어 도서관 회원증을 발급해줄 수 없다고 한다. 김○○씨는 모바일 결제 등 최근에는 지갑 자체를 들고 다니지 않는 것이 습관이 되어 이날 신분증도 가져가지 않은 것이 화근이었다. 결국 도서관 회원증을 발급받을 수 없어 책을 빌리지 못한 채 집으로 되돌아가게 됐다.
#2. 김해시 이○○씨는 주차위반과태료 고지서를 받고 당황한 경험이 있다. 주차위반과태료는 자진납부기한 내에 납부하면 32,000원, 이후에 납부하면 40,000원의 금액으로 부과된다. 하지만 이○○씨는 장기간 출장으로 자진납부기한이 지나서야 고지서를 발견했다. 시청에 전화해 집에 사람이 없어 기한 내 고지서를 받지 못해 억울하다고 해명했지만, 시청에서는 어쩔 수 없다는 답변만이 되돌아왔다.
누구에게나 한 번쯤 일어날 법한 이 같은 가상의 사례들은 이제 도민들에게는 과거의 추억으로 남게 될 전망이다.
이는 경남도의 ‘경남 G-랩(Gyeongnam Government-Laboratory)’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산신원증명(DID, Decentralized Identifier) 기반의 모바일 도민카드와 경상남도 통합 전자고지·안내서비스 덕분이다.
경상남도(도지사 김경수)는 지난해 7월부터 조직 내 도전정신을 제고하고, 도민이 꼭 필요로 하는 성과창출 도정 구현을 위해 문제해결형 실험적 독립조직, 조인트벤처 ‘경남 G-랩(이하 G-랩)’을 운영했다.
지난 1년 6개월 동안 지출·예산 등 일상적 행정업무는 소속 부서에서 지원하고 G-랩 팀원들은 ‘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혁신’ 과제에만 전념했다.
그 결과, ▲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 공모('19.12월) ▲페이퍼리스 촉진 시범사업 공모('20.5월) ▲블록체인 컨설팅 지원 사업('20.7월) ▲공공데이터 기업 매칭 지원 사업('20.9월) 등 총 4건의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으며,
경남도 산업혁신과의 ▲지역 정보통신기술(ICT)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사업('20.8월) 선정에도 협업을 통해 힘을 보탰다.
경남도는 우선 '21년 1월부터 경남전자지갑 앱을 통하여 모바일 도민카드를 발급하고, 경남대표도서관 비대면 회원가입 및 모바일 회원증 발급과 진해해양공원 이용요금 감면대상 간편 자격확인 서비스 등을 본격 개시할 예정이다.
그 외 디지털 시험·검사성적서, 통합지원금 운영 기반(플랫폼), 모바일 전자고지·안내서비스(주정차위반과태료 사전통지, 민방위 교육훈련통지, 도정 정책안내) 등의 공공서비스도 경남형 정책으로 더욱 구체화시켜 차츰 도민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.
이 같은 G-랩의 성과는 단순히 4건의 중앙공모사업에 선정된 것뿐만이 아니라, 블록체인 불모지나 다름 없던 경남에서 단 두 명의 팀원만으로 이루어낸 성과이자, 블록체인 정책의 지속성을 위한 인적 연결망(네트워크)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.
또한 통합지원금 운영기반(플랫폼)과 공공기관 근로자 채용 기반(플랫폼)을 구축하는 등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3개 분야 7개 과제를 자체 발굴했으며, 실험적 조직운영을 통해 조직역량 강화와 수평·창의적 조직문화 조성에도 기여했다.
김상원 경남도 도정혁신추진단장은 “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던 사회변화는 코로나19로 더욱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, 그 속도와 규모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”라며, “경남도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능동·선제적으로 대응해 도민이 신뢰하는 도정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”며 의지를 밝혔다.
한편 경남 G-랩 1기는 전 직원이 참여하는 과제공모와 심사, 팀원선발 등의 절차를 거쳐 지난 해 7월부터 도정혁신추진단 내 2명의 독립조직으로 운영했으며, 올해를 끝으로 운영이 종료된다.
내년도 1월부터는 1기 운영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더욱 내실 있는 2기를 운영할 계획이다.